주식을 매매 하려는 사람에게 가장 큰 고민은 바로 What & When 이 아닌가 싶습니다. 즉, 어떤 기업의 가치를 보고 장기 투자를 결심하던, 천운을 타고나 단타매매를 즐겨하던, 어느 시점에 주식을 구매하고 매도하느냐에 따라 수익율은 천차만별 일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주식을 언제 "WHEN!" 매매하면 좋은지, 진지하게 또는 가볍게 여러 면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생은 타이밍입니다!
1. 경제적인 쇼핑은 진리

쌀 때 사라! 이것은 투자의 진리이고 원칙이지만, 초보 투자자들이 가장 어려워 하는 부분입니다. 쇼핑을 할 때는 50%이상의 할인 품목, 1+1 상품, 이월 상품 등의 광고를 보면 구매의욕이 상승하는 현명한 소비자들도, 주식시장에만 오면, 명품 중에서도 명품 또는 모두가 주목하는 고가 행진의 종목에 눈이 멀어 버립니다. 요즘 스마트폰 가격도 출시할 때는 200만원 가까이 하던 것들이 1년도 안되어 반도 안되는 가격에 새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것 쯤은 모두 알고 계실겁니다. 천천히 기다려야 합니다!
IMF, 닷컴버블, 리만 사태, 그리고 최근 코로나 팬데믹까지, 수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 위기 뒤에는 반등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지금 코로나 이후, 너무 많이 주가가 올라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역시 인기있는 종목만 찾고 있지는 않은 것인지 되돌아 봅시다. 자신만의 기준을 정하여 종목 별로 'A가 이 가격이면 싼 값이지'라고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아는 만큼!

주식 투자의 기본은 돈을 투자하는 것이 아닌 시간과 노력을 얼마나 투자하는 지에 따라 달렸다고 합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듯이 자신만의 주식 연구 종목 리스트를 구성하시고 세밀하게 공부해야 합니다. 이 공부에는 분석가의 의견을 참고하는 것 부터, 재무제표 및 보고서 읽기, 최근 뉴스 읽기, 투자 기관 분석, 기업 발표 자료 등을 참고하는 등의 다양한 활동이 포함됩니다.
절대적으로 '얼마를 투자해야 한다'라는 정답은 없지만, A라는 기업에 100이라는 투자 금액을 결정하였고, 100이라는 공부 시간이 여러분에게 주어졌을 때, 기업을 공부한 만큼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100이라는 시간을 모두 공부 했을 때에도 이 기업의 큰 단점이 없고, 미래가 밝은 주식이라면, 투자 금액의 전부를 투자하여도 안전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3. 통계적으로는...

주식을 언제 사야하냐는 의미를 좀 더 직설적으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정말 주식은 몇시에, 무슨 요일에, 어떤 날에 사야 좀 더 유리할까요? 오랜 시간 주식 시장이 쌓아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투자자들의 투자 시간을 통계적으로 보여주는 자료가 있습니다. 이 통계가 여러분의 정답일 수는 없지만, 일반적인 사회적 흐름을 따라가느냐 역행하느냐도 일단 알고 결정해도 손해 볼 것은 없겠죠?
◎ 몇 시?
- 주식 시장은 아침 개장 시간에 거래량 및 가격이 급등 할 수 있습니다. 개장 시간은 시장이 이전 종가 이후의 모든 이벤트가 주가에 반영되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숙련자의 경우, 이 시간을 잘 이용할 수 있고, 초보자의 경우, 이와 같은 변동이 심한 시간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많은 주식 거래 전문가들은 오전 11시 전후로 거래를 마칩니다. 왜냐하면, 변동성과 거래량은 점점 줄어들 기 때문입니다. 하루 중반은 거래일 중 가장 조용하고 가장 안정적인 기간 인 경향이 있습니다. 이 시간의 주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행동이 더 느리고 수익이 더 예측 가능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가 거래를 하기 좋은 시간입니다.
- 하루의 마지막, 폐장을 앞둔 한 시간동안 변동성과 거래량이 다시 증가합니다.
◎ 무슨 요일?

특정 요일이 더 나은 수익을 보장하는 그런 날은 없습니다. 통상적으로 사람들은 월요일, 즉, 일주일의 첫 날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고, 이것을 월요일 효과라고 합니다. 여기서 좋다의 의미는 주가가 높지 않아 매수하기 좋다는 의미입니다. 들려오는 얘기로는, 주말에 공개 된 나쁜 소식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고, 근로자의 출근이라는 우울한 분위기를 탓하기도 합니다. 같은 맥락에서인지 금요일에는 통계적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 몇 월?

위 그래프는 S&P 500 Index를 1950년부터 2017년까지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입니다. 통상적으로 9월은 하락한 경우가 많고, 대체적으로 겨울이 여름보다 주가적인 흐름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1 월 효과라는 말도 있는데, 새해 초에 투자자들은 어떠한 결심 또는 복수심에 불타올라 주식 시장에서 공격적인 투자를 하여 소형주, 가치주 등의 가격을 올리기도 합니다. 장기적인 투자를 하는 경우, 9월의 하락을 투자 시점으로 가져가는 것도 통계적으로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차트의 흐름과 신호

주식을 하다보면, 기업의 가치 또는 재무 상태와는 무관하게 차트에 그림을 그려가며 주식을 분석하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주식의 차트의 생김새만을 가지고 주가의 흐름을 판단하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분분합니다. 하지만, 하나 확실한 것은 위와 같이 주식의 상승과 하락의 패턴을 분석한 자료들 역시 역사적인 통계에 기반한다는 것입니다. 투자라는 것이 사람의 심리가 반영되는 경제 활동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통계학적인 측면의 접근 역시 무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여러분도 잘 아시겠지만,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느 정도의 부를 축적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저희들의 운명이라면, 언젠가 한번 쯤은 자신의 자산을 자신의 손 밖으로 맡겨야하는 순간이 찾아옵니다. 그것이 주식이 될 수도 있고, 펀드, 부동산 또는 은행의 예/적금이 될 수도 있으며, 더 간단하게는 지인의 사업에 투자하거나, 부모 또는 친구에게 빌려주는 경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나의 자산을 보장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하기 위한 노력 없이는 어떤 것도 확신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모두 성공 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 블로그 내용은 전적으로 저만의 투자 공부 방법 및 기준이므로 참고만 부탁드리며, 실제 투자는 반드시 본인의 판단과 책임이므로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고 신중히 투자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생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간단 [까눌레 만들기] (feat. 쉐프메이드틀) (1) | 2021.02.28 |
---|---|
약세장 (Bear) VS 강세장 (Bull)의 특징과 투자 전략 (0) | 2021.02.24 |
[대만 카스테라] 만들기 (feat. 파운드케익 틀) (0) | 2021.01.24 |
코로나 확진자 수와 나라별 인사법의 상관관계 (0) | 2021.01.14 |
임신하기 전 꼭 해야할 일! (0) | 2021.01.08 |
댓글